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, 브라우저마다 기본 스타일이 달라서 예상치 못한 디자인 차이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.
이런 문제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reset.css
입니다.
🔎 reset.css란?
reset.css
는 각 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디폴트 스타일(기본 margin, padding, font-size 등)을 제거하여, 스타일의 출발점을 동일하게 만드는 CSS 파일입니다.
즉, 모든 요소의 스타일을 “0”에서 시작하게 만들어서, 개발자가 의도한 스타일만 적용되도록 도와줍니다.
아주 간단한 reset.css
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/* reset.css */
* {
margin: 0;
padding: 0;
box-sizing: border-box;
}
ul,
ol {
list-style: none;
}
a {
text-decoration: none;
color: inherit;
}
button,
input {
border: none;
outline: none;
background: none;
}
*
선택자를 통해 margin/padding 제거- box-sizing: border-box로 레이아웃 계산을 직관적으로
- 리스트, 링크, 폼 요소 등의 기본 스타일 제거
📂 reset.css vs normalize.css
많이 혼동하는 개념으로 normalize.css가 있습니다.
구분 | reset.css | normalize.css |
---|---|---|
목적 | 기본 스타일 완전히 제거 | 브라우저 간 스타일 일관성 유지 |
특징 | 완전히 “0”에서 시작 | 공통 분모를 맞추되 기본 스타일 유지 |
사용 사례 | 디자인 시스템을 완전히 통제하고 싶을 때 |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적절히 살리고 싶을 때 |
⚡ reset.css 장점
reset.css 사용의 장점으로는 부라우저 간 스타일 차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완전히 0에서 시작하기 때문이죠, 또한 예상치 못한 margin/padding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. 모든 디자인을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는 것 이죠
✅ 정리
- reset.css는 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을 초기화하는 도구
- 개발자가 스타일을 “처음부터” 설계하기 쉽게 해줌
- 필요에 따라 normalize.css와 비교 후 선택 가능
👉 프로젝트 성격에 맞게 reset.css 또는 normalize.css를 적용하면, 더 일관된 UI 개발이 가능하다!